우리나라 국가부도가 김영삼때 처음인지 아느분들이 많다

본문 바로가기
사이트 내 전체검색

로그인
회원가입
잡담게시판

우리나라 국가부도가 김영삼때 처음인지 아느분들이 많다
0

View 3  | 작성일2025.09.16 20:48

본문

4ef64b2e33392c253a4de253c3de9eb2_1758023319_1161.png
 

【씨원뉴스】네티즌 시사평론가 기훈씨는 1월 25일 그의 SNS에 "다들 우리나라 국가부도가 김영삼 정권 때 처음인 줄 아는 분들이 많다."라며 서두를 던졌다.


아래는 전문이다.


다들 우리나라 국가부도가 김영삼 정권 때 처음인 줄 아는 분들이 많다.


그러나 이미 박정희 정권 때 국가부도를 맞았고 1979년에도 국가부도 위기였지만 그 해 박정희가 죽고 다음 해 전두환이 일본서 돈을 빌려다 막았다. 박정희가 경제 살렸다?


한 마디로 웃기는 얘기다.


1969년 외환위기가 왔다. (국내 상장기업 45%가 부실기업)


1974년 국가부도를 맞았다.


1979년 외환위기가 왔다.


1980년 외환위기는 계속된다.


전두환이 일본에게 60억 달러 구걸해 와 빚으로 빚의 이자나마 간신히 갚는 상황이었지만 언론은 진실을 보도하지 않고 박정희, 전두환을 <조국 근대화의 아버지, 구국의 영웅>이라 신격화만 했다.


1979년 박정희는 180억 달러, 세계 4위 채무국, GDP 대비 55%가 넘는 빚에 시달리게 했고,


1985년 전두환은 550억 달러, 세계 1위 채무국, GDP 대비 250%가 넘는 빚에 시달리게 했다.


언론은 이때 역시 국가부도 위기를 보도하지 않았다.


그리고 드디어 1997년에 1974년 이후 두 번째 국가부도를 맞았다.


김영삼 시대에도 언론은 외환 보유고가 38억 달러로 고갈되었지만 국가부도 하루 전 날에도 국민들에게 한국경제는 문제없다고 장담했다.


이랬던 언론이..


2000년 2/4분기 건국 이후 최초로 순채권국에 입성하자 경제위기라고 보도하고,


2002년 말 1200억 달러로 세계 4위 외환보유국에 입성하자 나라가 망한다고 보도하고,


2006년 대외 국가채무가 GDP 대비 30%로 건실하자, 경제위기라고 보도하고,


2006년 말 대외 순채권이 900억 달러를 돌파하자, 나라가 망한다고 보도했다.


그리고 문재인 정부 들어서자 사상 최대 경상 수지 흑자와 GDP 세계 10위안에 들어가자 언론은 또 경제 위기로 나라가 망한다고 했고,


윤석열 정부 들어 환율은 천정부지, 사상 최대의 재정, 경상수지 적자가 계속되는 돼도 나라가 망한다는 언론은 찾아볼 수가 없다.


조중동이야 말로 진정한 악의 축이다. 그 중에서 가장 악질인 게 조선일보고 조선일보만 폐간해도 우리나라가 정치와 사회적으로 진정한 선진국으로 들어가는데 문제가 없을 것이다.


출처 : 씨원뉴스(c1news)(http://www.c1news.kr)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잡담게시판 목록

게시물 검색

접속자집계

오늘
3,176
어제
2,812
최대
6,399
전체
1,451,314
Copyright © LittleCandle All rights reserved.
문의메일 : littlecandle99@gmail.com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